오노레 도미에, <가르강튀아>, 1831, 석판화, 30.5×21.4, 프랑스국립도서관, 파리

<가르강튀아(Gargantua)>는 프랑스의 오노레 도미에(Honoré Daumier, 1808-1879)가 1831년에 루이 필리프 1세를 풍자한 작품이다. 루이 필리프 1세는 1830년 7월 혁명으로 의회 해산, 언론 및 출판의 자유를 억압한 샤를 10세가 물러나고 입헌군주로 즉위한 인물이다. 절대왕정을 무너뜨리고 이후 전유럽에 혁명의 분위기를 고취시켰다는 점에서 7월 혁명의 의의를 찾을 수 있지만 절대왕정이건, 입헌군주제이건 왕실의 근본적인 개혁이 없는 상태였기 때문에 사회의 큰 변혁은 일어나지 않았다. 결국 이 작품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백성은 굶주리고 착취를 당하는 삶만 계속될 뿐이었다. 정치권력만 바뀌었을 뿐 그외의 것들은 하나도 바뀌질 않았다.

오노레 도미에는 귀스타브 쿠르베(Jean-Désiré Gustave Courbet, 1819-1877)와 함께 프랑스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화가로 평가받는다. 이들이 등장하기 이전까지 유럽에서 회화예술이란 주제와 그리는 방법 모두 품격있는 것이어야 했다. 교훈을 주는 역사화, 고전 중에 고전인 그리스-로마 신화, 그리고 가톨릭 종교화까지 성스럽고 고귀한 이야기만이 예술의 대상으로써 대접을 받았다. 정물화, 풍경화 같은 그림들은 이것들보다 급이 낮다고 여겨졌다. 그러나 혁명을 거친 후 급격한 산업화, 도시화를 겪으며 현실을 냉정하게 진단하고 바라보기 시작한 이들이 각 분야에서 나왔는데 미술에서는 쿠르베와 도미에가 대표적이다.

19세기 중반은 소위 고급스럽지 못하다고 여기던 것들이 예술의 전면에 등장하기 시작한 시기다. 장례식 장면조차도 천사들이 내려와 죽은 자를 천국으로 인도하는 식으로 그림을 그리던 전통에서 벗어나 죽음 그 자체를 직시하기 시작했고 풍요로운 귀족들의 일상 옆에 헐벗은 채 굶주리는 백성들도 존재한다는 것을 새삼 깨닫게 되었다. 이 작품은 오노레 도미에의 현실 인식, 고발, 풍자가 한 데 어우러진 정치풍자화다. 석판화로 제작된 이 작품은 당시 진보 매체였던 『라 카리카튀르(La Caricature)』에 게재되었다. 지금의 시사만평 역할이었다고 볼 수 있다. 도안을 그린 후에 음각까지 해야 하는 목판화나 동판화와 달리 석판화는 음각하는 과정이 생략되어 더욱 빠르고 손쉽게 인쇄할 수 있고 회화와 다를 바 없는 양식 때문에 당시 인기가 많았던 제작방식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