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은 한국미술사(동양미술사) 전공자라면 반드시 가봐야 하는 나라 중 하나입니다. 유럽에 그리스가 있듯, 동아시아에서는 중국을 빼놓고 미술사를 논할 수는 없습니다. 어느 시기에나 문화를 주도하는 국가(지역)가 있게 마련인데 중국은 그 역할을 오랜 기간 차지해왔죠. 20세기 이후 미국의 문화가 전세계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중국이 아니라 대만을 가야하는 이유는 중국미술사의 최고 명품들이 대만 국립고궁박물원에 많이 소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중일전쟁 이후 다시 패권을 놓고 싸우던 장제스의 국민당과 마오쩌둥의 공산당 내전(국공내전)에서 결국 공산당이 승리했고, 국민당은 대만에, 공산당은 중국에서 정권을 세워 현재에 이르고 있죠. 이때 장제스가 대만으로 패퇴할 때 북경 자금성을 비롯해 중국 곳곳에 있던 유물 중 최고 명품만 추려서 리스트를 만들고 최대한 배에 실어서 대만으로 가져가 설립한게 현재의 대만 국립고궁박물원입니다. 다급하게 후퇴하며 가져가야 했기에 다 가져갈 수는 없으니 명품 위주로 가져갔습니다. 도자, 공예도 많긴 하지만 운반이 편한 서화(두루마기)를 특히 많이 가져갔습니다.
증명이 된 얘기인지는 모르겠으나 배로 후퇴하던 장제스를 마오쩌둥이 충분히 격침시킬 수 있었음에도 워낙 방대한 양의 명품급 문화재를 갖고 있어서 그냥 보내줬다는 이야기도 전해집니다(저는 1960년대에 중국 문명을 모조리 파괴한 문화대혁명을 일으킨 마오쩌둥이 과연 그렇게 멋진 일을 했을까라는 생각도 들긴 합니다).
장제스가 이렇게 위급한 상황 속에서도 2,972개의 박스에 명품(자금성 유물 29만점 포함 총 61만 여 점)을 실어 함께 후퇴한 이유는 문화재가 국가의 정체성을 대변해준다고 여겼기 때문입니다. 중국 정부의 정통성은 공산당이 세운 현재의 중화인민공화국이 아니라 국민당이 세운 중화민국에 있다는 주장이죠. 비록 상황이 여의치 않아 대만에 잠시 망명정부처럼 머물러 있지만요. 마치 왕정시대에 옥새를 갖고 피난가는 심정이었을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