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밖에서 본 아시아, 美』는 미술사, 서양사, 사회인류학, 일본 영상문화론, 영미드라마, 산업디자인 전공의 학자들이 모여 아시아에 대한 서양의 시선을 주제로 각자의 연구논문을 모은 책이다. 세부 주제는 근대의 여행기 및 잡지에 투영된 아시아, 서양인에게 일본의 미가 선입견으로 자리잡게 되는 과정, 미국인 학자의 동아시아 문인화 인식, 게이샤를 주제로 한 영화로 본 서양의 일본 인식, 미국 미디어에서 발견할 수 있는 아시아에 대한 인식, 현대 디자인에 영향을 끼친 동아시아 예술로 구분된다. 다양한 사례를 통해 아시아에 대한 외부의 시선을 논증한 책이어서 평소 서양인들의 인종차별, PC주의, 한류열풍 등에 관심이 많았다면 보다 깊이 있게 현재의 문화 양상을 읽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그동안 논문을 쓰면서 문화의 영향관계를 논할 때 가장 중요하게 다루고, 자주 상상해보는 것은 상대에 대한 인식이 어떠했는가였다. 어떻게 바라봤는지를 우선 이해해야 그 영향의 여부를 최대한 합리적으로 해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인식은 현상 파악에 앞서 먼저 파악해야 하는 주요 전제이다.

이 책의 서문에도 써있듯이 아시아의 불교조각, 도자기는 본래 예술품으로 대접받지 않았다. 이 장르들에 예술이라는 프레임을 씌워 처음 바라본 것은 서양이었다. 유물의 역사성, 예술성을 체계적인 방법론으로 파악하는 미술사학이 유럽에서 시작되었기에 당연한 결과라고도 할 수 있다. 이제는 미술사의 한 영역으로 연구되고 있는 이러한 작품들을 더욱 깊고 다각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3자의 관점 및 인식을 알아야 한다. 우리가 당연하게 여겨 못보고 놓치는 것들을 그들에겐 보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